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모음집

의료급여로 병원비 얼마나 줄어드나? (지원 범위 정리)

by 건강전도사님 2025. 3. 14.

 

 

 

의료급여로 병원비 얼마나 줄어드나? (지원 범위 정리)

 

 

 

 

병원비 부담이 큰 저소득층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의료급여 제도는 진료비, 입원비, 약값 등을 보조해준다. 하지만 실제로 병원비가 얼마나 줄어드는지, 본인 부담금은 얼마인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의료급여 1종과 2종의 지원 범위를 비교하고, 진료비 절감 효과를 상세히 정리해본다.

 

 


 

🔹 의료급여로 줄어드는 병원비 (지원 범위 총정리)

 

의료급여 혜택은 크게 외래 진료비, 입원비, 약제비(약값) 지원으로 나뉜다.
아래 표에서 1종과 2종의 본인 부담금을 비교해보자.

 

🔹 외래 진료비(통원 치료 시)

의료기관 의료급여 1종 본인 부담금 의료급여 2종 본인 부담금
의원 1,000원 1,000원
병원(2차 의료기관) 1,500원 0.15
종합병원(3차 의료기관) 2,000원 0.15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 2,000원 0.15

 

의료급여 1종은 병원 방문 시 1,000~2,000원만 부담
의료급여 2종은 본인 부담금이 15% 발생 (예: 진료비 10만 원이면 1만 5천 원 부담)

 

 

🔹 입원비(병원에 입원할 경우)

의료기관 의료급여 1종 본인 부담금 의료급여 2종 본인 부담금
의원·병원 무료 0.1
종합병원 무료 0.1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 0.1 0.1

 

 

의료급여 1종은 대부분 무료, 단 대학병원 입원 시 10% 부담
의료급여 2종은 모든 병원에서 10% 부담

 

 

💡 예시:

  • 1종 환자가 종합병원 입원(입원비 100만 원) → 본인 부담금 0원
  • 2종 환자가 종합병원 입원(입원비 100만 원) → 본인 부담금 10만 원

 

 

🔹 약값(약제비 부담)

약국 이용 의료급여 1종 의료급여 2종
처방약 조제 무료 정해진 본인 부담금 있음

 

 

 

의료급여 1종은 약값 부담 없음

의료급여 2종은 일부 본인 부담금 발생 (단, 고액 약제비 지원 가능)

 


 

2. 추가 혜택: 본인 부담금 상한제 & 본인부담 면제

 

🔹 본인 부담금 상한제 (2종 대상자 한정)

  • 2종 대상자의 본인 부담금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초과 금액은 정부가 부담
  • 기준: 월 최대 80만 원까지 본인 부담, 초과 금액은 전액 지원

💡 예시:

  • 병원비 부담액이 120만 원 → 80만 원까지만 부담, 나머지 40만 원은 정부 지원

 

 

🔹 본인 부담 면제 대상

의료급여 대상자라도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본인 부담금 없이 무료로 진료 가능

  1. 희귀난치성 질환자
  2. 중증 결핵 환자
  3. 18세 미만 아동(입원 시)

 

 

 


 

 

3. 의료급여 혜택 받을 때 주의할 점

 

🔹 1차 의료기관부터 이용해야 함

  • 의료급여 1종은 반드시 1차 병원(동네 의원) → 2차 병원(종합병원) → 3차 병원(대학병원) 순서로 이용해야 한다.
  • 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지원받지 못할 수 있음!

🔹 비급여 항목은 본인 부담

  • 치과 치료(임플란트, 보철 등), 성형수술, 건강검진, 일부 한방 치료 등은 의료급여 지원이 안 됨
  • 치료받기 전에 의료급여 적용 여부 확인 필수!

🔹 매년 갱신 심사 필요

  • 소득, 재산이 변동되면 의료급여 지원이 중단될 수도 있음
  • 매년 주민센터에서 재심사를 받는 것이 중요함

 

 


 

Q. 의료급여로 얼마나 절약할 수 있을까?

 

 

의료급여 1종 대상자라면?
→ 외래 진료비 최대 2,000원, 입원비 대부분 무료, 약값 부담 없음

 

 

의료급여 2종 대상자라면?
→ 외래 진료비 15% 부담, 입원비 10% 부담, 약값 일부 부담

👉 예를 들어, 대학병원에서 500만 원짜리 치료를 받는다면?

  • 1종 대상자는 50만 원만 부담 (10%)
  • 2종 대상자는 50만 원 부담하지만, 본인 부담금 상한제 적용 시 80만 원까지만 부담!

* 결론적으로 의료급여를 이용하면 병원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인의 혜택 범위를 잘 확인하고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