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진료 시 들을 수 있는 의료 용어 쉽게 정리
병원 진료를 받을 때 의사나 간호사가 사용하는 의료 용어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의학 용어는 전문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진료실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의학 용어와 그 뜻을 쉽게 설명해본다.
1. 진료 중 자주 듣는 기본 의료 용어
✅ 병원 진료실에서 의사가 자주 사용하는 주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도 감염 (URI) | Upper Respiratory Infection | 감기, 기관지염 등 상부 호흡기 감염 |
위염 (Gastritis) | 위 점막 염증 | 속 쓰림, 소화 불량 증상 유발 |
장염 (Enteritis) | 장에 염증 발생 | 복통, 설사, 구토 증상 |
고혈압 (Hypertension) | 혈압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 | 140/90mmHg 이상이면 고혈압 |
당뇨병 (Diabetes Mellitus) | 혈당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 | 혈당 조절이 잘 안 되는 질환 |
빈혈 (Anemia) | 혈액 내 헤모글로빈 부족 | 피로감, 어지럼증 유발 |
골다공증 (Osteoporosis) | 뼈가 약해지는 질환 | 노년층에서 골절 위험 증가 |
퇴행성 관절염 (Osteoarthritis) | 관절 연골이 닳아 발생하는 질환 | 무릎, 허리 관절 통증 유발 |
💡 TIP: 위염, 장염 등 염증이 포함된 병명은 해당 기관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의미한다.
2. 검사 관련 의료 용어 해석
✅ 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때 의사가 자주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BC 검사 (Complete Blood Count) | 혈액 검사 | 빈혈, 감염 여부 확인 |
LFT (Liver Function Test) | 간 기능 검사 | 간 수치(GOT, GPT) 확인 |
BUN / Cr (Blood Urea Nitrogen / Creatinine) | 신장 기능 검사 | 신장 기능 이상 여부 확인 |
Lipid Panel (지질 검사) | 콜레스테롤 검사 | LDL(나쁜 콜레스테롤), HDL(좋은 콜레스테롤) 수치 확인 |
X-ray (엑스레이) | 방사선 촬영 | 뼈 상태 확인 (골절, 폐렴 등) |
CT (Computed Tomography) | 단층 촬영 검사 | 뇌, 폐, 복부 장기 정밀 검사 |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자기공명영상 검사 | 뇌, 척추, 관절 등을 정밀 검사 |
초음파 (Ultrasound, USG) | 초음파 검사 | 간, 신장, 갑상선 등 내부 장기 검사 |
💡 TIP: MRI는 CT보다 더 정밀한 검사이며, 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비용 차이가 크므로 확인 필요!
3. 약 처방 시 자주 나오는 의료 용어
✅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을 때 자주 등장하는 약물 관련 용어를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구 복용 (PO, Per Os) | 입으로 먹는 약 | 알약, 캡슐, 시럽 형태 |
정맥 주사 (IV, Intravenous Injection) | 혈관에 직접 주사하는 약 | 수액, 항생제 주사 |
근육 주사 (IM, Intramuscular Injection) | 근육에 주사하는 약 | 감기 주사, 해열제 주사 |
소염제 (Anti-inflammatory Drug) | 염증을 줄이는 약 | 해열진통제(타이레놀, 이부프로펜) 포함 |
진통제 (Analgesic) | 통증을 줄이는 약 | 타이레놀, 아스피린 등 |
항생제 (Antibiotic) | 세균 감염 치료제 | 세균성 감염 시 사용 (바이러스 감기에는 효과 없음) |
항히스타민제 (Antihistamine) | 알레르기 치료제 | 콧물, 두드러기 치료 (지르텍, 알레그라 등) |
💡 TIP: 항생제는 감기(바이러스) 치료에는 효과가 없으며, 세균 감염 치료에만 사용된다.
4. 진료 기록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차트 기록 해석)
✅ 의사가 환자 차트(진료기록)에 자주 기록하는 용어를 쉽게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CC (Chief Complaint) | 주된 증상 | 환자가 병원에 온 이유 |
Hx (History) | 병력 | 과거 병력, 가족력 기록 |
Dx (Diagnosis) | 진단명 | 최종 병명 (ex. 위염, 감기) |
Tx (Treatment) | 치료 방법 | 약물 치료, 주사, 수술 등 |
Rx (Prescription) | 처방 | 약 처방 내용 |
F/U (Follow Up) | 추적 관찰 | 재진이 필요하다는 의미 |
WNL (Within Normal Limits) | 정상 범위 내 | 검사 결과 이상 없음 |
NPO (Nothing Per Oral) | 금식 | 수술 또는 검사를 위해 금식 필요 |
💡 TIP: 의사가 "F/U 하세요"라고 하면 "다음에 다시 오세요"라는 의미!
5. 응급실에서 자주 사용하는 의료 용어
✅ 응급실에서 의료진이 자주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BP (Blood Pressure) | 혈압 | 120/80mmHg가 정상 |
HR (Heart Rate) | 심박수 | 1분당 심장 박동 수 |
RR (Respiratory Rate) | 호흡수 | 1분당 숨 쉬는 횟수 |
SpO2 (Oxygen Saturation) | 산소포화도 | 정상 범위 95~100% |
LOC (Level of Consciousness) | 의식 수준 | 의식 상태 평가 |
GCS (Glasgow Coma Scale) | 혼수 상태 평가 | 의식 장애 여부 확인 |
Stat (Immediately) | 즉시 | 응급 상황에서 사용 |
💡 TIP: 응급실에서 "Stat!"이라는 말이 나오면 즉시 처치가 필요하다는 의미!
진료실에서 들을 수 있는 의료 용어, 이제 쉽게 이해하자!
✔ 기본 진료 용어: 위염, 장염, 고혈압 등 질병명 해석
✔ 검사 용어: CBC(혈액 검사), MRI(자기공명영상) 등 검사 방법 이해
✔ 약 처방 용어: 경구 복용(PO), 항생제, 진통제 등 약물 정보 확인
✔ 차트 용어: Dx(진단), Tx(치료), Rx(처방) 등 진료 기록 해석
✔ 응급실 용어: BP(혈압), SpO2(산소포화도), Stat(즉시 처치) 등 응급 상황 이해
🔎 병원에서 의사의 설명을 쉽게 이해하고, 필요한 치료를 제대로 받을 수 있도록 의료 용어를 익혀두자!
'병원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고혈압 환자를 위한 병원 선택 가이드(적합한 병원과 의료비 절감 팁) (1) | 2025.04.01 |
---|---|
의료비 지원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 제도 총정리(저소득층·장애인·노인) (0) | 2025.03.31 |
동네 병원과 대형병원, 어디서 진료받아야 할까? (1) | 2025.03.28 |
병원 처방전 받는 법 (약국 할인, 의료급여 적용여부 총정리) (1) | 2025.03.27 |
희귀질환자 대상 건강보험 혜택 & 정부지원 제도 정리 (산정특례제도) (0) | 2025.03.25 |
댓글